[장애인 복지] 청각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9 15:38
본문
Download : [장애인 복지] 청각장애.hwp
아무쪼록 도움이 되길 빌며, 레포트 잘 제출하시고,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
장애인복지-청각장애
순서
1. 청각장애의 concept(개념)과 분류
1) 청각장애란
2) 법의학에 따른 분류
3) 병리학에 따른 분류
4) 실청 시기에 따른 분류
2. 청각장애의 원인(原因)
1) 외의 및 중의의 원인(原因)
2) 내의의 원인(原因)
3) 기타 원인(原因)
3. 청각장애 實態
1) 청각장애인 등급별 등록 현재상황
2) 청각장애의 장애원인(原因)
3) 청각장애인의 직업
4. 청각장애 정책과 지원
1)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하는 사업
2) 기타 중앙행정기관에서 시행하는 사업
3) 민간기관에서 자체운영규정에 의하여 실시하는 사업
4) 청각장애인 인공달팽이관 수술지원
5) 기타 청각장애관련 지원
5. 청각장애아동 재활-교육중심으로
1) 청각 장애 유아 및 아동기 - 교육 재활
6. 청각장애 부모의 양육 부담
1) 의사소통과 언어지도의 부담
2) 심리 사회적 부담
3) 경제적 부담
4) 교육 부담
7. 事例(사례)
8. 제언
청각장애(hearing impairment)란 청각기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상을 입어 음성언어를 비롯하여 소리를 듣는 능력에 결함을 지니게 됨으로써 일상적인 의사소통 기능이 제한되는 정도를 말한다(손희정, 2003). 일반적으로 ‘청각장애’를 정의(定義)함에 있어 공적으로 가장 널리 채택되고 있는 정의(定義)는 미국 농학교 집행위원회(The conference of Executives of American Schools for the Deaf:CEAD)의 용어제정위원회에서 1975년에 내린 다음의 정의(定義)이다.
Download : [장애인 복지] 청각장애.hwp( 91 )
![[장애인%20복지]%20청각장애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5%EC%95%A0%EC%9D%B8%20%EB%B3%B5%EC%A7%80%5D%20%EC%B2%AD%EA%B0%81%EC%9E%A5%EC%95%A0_hwp_01.gif)
![[장애인%20복지]%20청각장애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5%EC%95%A0%EC%9D%B8%20%EB%B3%B5%EC%A7%80%5D%20%EC%B2%AD%EA%B0%81%EC%9E%A5%EC%95%A0_hwp_02.gif)
![[장애인%20복지]%20청각장애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5%EC%95%A0%EC%9D%B8%20%EB%B3%B5%EC%A7%80%5D%20%EC%B2%AD%EA%B0%81%EC%9E%A5%EC%95%A0_hwp_03.gif)
![[장애인%20복지]%20청각장애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5%EC%95%A0%EC%9D%B8%20%EB%B3%B5%EC%A7%80%5D%20%EC%B2%AD%EA%B0%81%EC%9E%A5%EC%95%A0_hwp_04.gif)
![[장애인%20복지]%20청각장애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5%EC%95%A0%EC%9D%B8%20%EB%B3%B5%EC%A7%80%5D%20%EC%B2%AD%EA%B0%81%EC%9E%A5%EC%95%A0_hwp_05.gif)
![[장애인%20복지]%20청각장애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A5%EC%95%A0%EC%9D%B8%20%EB%B3%B5%EC%A7%80%5D%20%EC%B2%AD%EA%B0%81%EC%9E%A5%EC%95%A0_hwp_06.gif)
설명
청각장애의 개념과 분류, 原因과 내역 및 청각장애 부모의 양육 부담을 살펴보고, 청각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적정책과 지원 및 청각장애아동 재활교육에 대상으로하여 정리(整理) 했습니다. 농을 나타내는 용어를 deaf 와 Deaf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deaf는 생리적이나 병리적으로 농을 설명(說明)할 때 사용되고, 농아는 장애인이 아니라 언어적, 文化(culture) 적으로 소수 집단으로 지칭할 때 Deaf를 사용한다.
2. 농(Deafness)은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입은 청력손실이 91dB 이상을 의미한다.
3. 난청(hard of hearing)은 청력손실이 심각하여 의미있는 음의 전달에는 한계가 있으나 …(省略)
청각장애의 개념과 분류, 원인과 현황 및 청각장애 부모의 양육 부담을 살펴보고, 청각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적정책과 지원 및 청각장애아동 재활교육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청각장애는 가벼운 것에서부터 심한 정도에 이르기까지의 청각불능을 지칭하는 일반적 concept(개념)으로 이는 농과 난청으로 나누어지고 있따 농은 보청기를 사용하든 않든 간에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의 성공적 절차가 불가능한 자이고, 난청은 일반적으로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의 활용이 가능한 자이다(원영조 외, 1990) WHO에서는 청력에 따라 90dB이하를 난청으로 91dB 이상을 농으로 구분하고 있따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60dB이상을 장애로 분류하고 있으며 formula(공식)적으로는 이들을 모두 청각장애인으로 부르고 있따 하지만 실제로는 청각기능의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모두 통칭하여 청각장애인 또는 농아인 이라 하고, 말하기와 독순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을 구화인(혹은 난청인, 청각장애인)으로 부르기도 한다(김명희, 2002)
각 concept(개념)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定義)는 다음과 같다.
1. 청각장애(hearing impairment)란 청력에 손실을 가진 모든 장애를 포함한다. 장애인복지-청각장애 , [장애인 복지] 청각장애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인 복지] 청각장애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길 빌며, 레포트(report) 잘 제출하시고, 좋은 성적 거두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