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5 19:31
본문
Download :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hwp
설명
Download :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hwp( 69 )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
의존 명사 ‘’의 의미를 유창돈(1961 : 293-295)에서는 ‘장소’나 ‘일반 사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허웅(1975 : 288)은 ‘것, 줄, 까닭’ 등을 나타낸 것으로, 고영근(1982 : 83-84)에서도 ‘것, 줄, 까닭’을 뜻하는 것으로 보았다.
가. ‘+이’
(1) ㄱ. 법이 제 일훔 논 디라 모로매 일후믈 인야 현 이런 로 일훔 지니<금…(생략(省略))
의존 명사 ‘’의 의미를 유창돈(1961 : 293-295)에서는 ‘장소’나 ‘일반 사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허웅(1... , 15세기 의존 명사 ‘다’의 문 구성 연구기타레포트 ,
의존 명사 ‘’의 의미를 유창돈(1961 : 293-295)에서는 ‘장소’나 ‘일반 사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허웅(1...
레포트/기타
순서






,기타,레포트
다. 이에 비해 이기문(1972 : 178-179)은 ‘통사적 기능만을 맡고 있는 형식 명사’로 설명(explanation)한 바 있따 또 최범훈(1990 : 154)은 ‘시간, 장소, 사물, 연유’ 등 여러 가지 뜻을 모두 포괄한 ‘기원 추상명사’라고 하였다. 정재영(1996 : 30)은 ‘일반적으로 사건이나 사태를 나타내는 보문 명사’로 보고 있따 이처럼 의존 명사 ‘’의 의미에 관련되어 다양한 견해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의존 명사 ‘’가 갖는 의미의 추상성, ‘’ 통합 구조체의 어휘화 혹은 문법화의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서 의존 명사 ‘’가 관여하여 이루어내는 문장의 유형들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곧 본래 의존 명사로서의 뚜렷한 기능과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가 어휘화나 문법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본래의 통사적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게 되고, 특정한 형태적·통사적 구조 안에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잠재되어 있던 어휘적 기능이나 통사적 기능을 새로이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의존 명사 ‘’의 통합 구조체가 하나의 새로운 문법 형태소로 변하였을 뿐만 아니라, 의미적으로도 變化를 입게 된 경우에, 그것을 재分析하는 방법으로 의존 명사 ‘’의 의미를 이끌어내게 된다면 위와 같은 다양한 의미 파악이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