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ing.co.kr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논쟁 > lighting5 | lighting.co.kr report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논쟁 > lighting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lighting5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논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23:00

본문




Download :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논쟁.hwp




고구려와발해에대한_논쟁s ,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논쟁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고구려사와 발해사에 관한 논쟁을 분석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 제기가 있게 된 것은 말갈이 살았던 곳이 과거 그들의 조상이라고 하는 흑룡강중하류의 숙신 등에 비해 남북만주 지역에서 한반도까지를 포함하여, 과거 예맥 및 부여, 옥저등이 살았던 곳과 상당부분 중복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숙신족의 남하로 인한 말갈의 번성이라고만 볼…(省略)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논쟁

고구려와%20발해에%20대한%20논쟁_hwp_01.gif 고구려와%20발해에%20대한%20논쟁_hwp_02.gif 고구려와%20발해에%20대한%20논쟁_hwp_03.gif
다. china(중국) 은 오래전부터 발해사를 자신들의 소수 민족사로서 보았고, 러시아 역시 발해를 자신들의 소수 민족사로서 보고있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들은 발해사를 발전시키기 보단 오히려 정체 시키고 있다 발해와 고구려에 대한 history학자들 사이에 대한 주장은 다음과같이 엇갈린다. 말갈기록이 갖는 문제도 여러 선학들에 의해 제기되어 왔다.

Download : 고구려와 발해에 대한 논쟁.hwp( 83 )



레포트/인문사회

고구려사와 발해사에 관한 논쟁을 분석했습니다. 이것은 현재의 영토와 과거의 history가 서로 연관되기 때문일것이다 어떻게 보면 발해사는 학문적인 연구보다는 정치적 현실에따라 달라지는 history라고도 보여진다. 발해는 다수의 이민족을 다스리기 위한 어떠한 정책도 갖고 있지 않았다.

우선 발해를 한국사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history학자들의 주장을 살펴보자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로 그 근거로는 발해에서 日本 에 보낸 외교문서에 `(발해는) 옛 고구려의 땅을 다시 찾아 거하고 있다`는 기록과 `고구려국왕 대흠무가 말하다`는내용, 日本 에 보낸 85명의 발해 正使 중에서 26명이나 옛 고구려의 성(姓)과 같은 고씨(高氏)였다는 점, 그리고 당시 日本 이 발해(渤海)를 高句麗(高麗)라고도 되어있다 중,고등학교 교과서에는 발해가 소수의 고구려 지배층에 다수의 말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발해는 고구려와 말갈의 이원 내지 다민족 국가였다고 할 수 없다.

고구려와발해에대한_논쟁s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현재 동아시아에서 발해사에 대한 시각은 저마다 다르다. 발해는 700여년의 왕조를 이어 오면서 하나의 history文化(문화)권을 이룩하며 살았던 고구려인들의 후손이 세운 국가였다. 정약용의 거짓말갈(위말갈僞靺鞨)론이 그렇고, 말갈이 단일 종족명이 아니라 몇 개의 종족에 대한 총칭(總稱)이었다는 설, 그리고 말갈이 예(濊) 또는 예맥계(濊貊系)였다는 주장들이 그것이다.
전체 7,633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lighting.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